top of page
주식회사 호스
HOSS Production | 영상 제작, 유튜브 실시간 방송, 줌 웨비나, 학술행사, 국제행사, 사진촬영, 음향지원
메인
소개
포트폴리오
문의
더보기
Use tab to navigate through the menu items.
로그인
Facebook
Twitter
Pinterest
Tumblr
링크 복사
링크 복사 완료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22:40
국립과천과학관
나야😳 단백질, 근데 이제 AI를 곁들인... 2024 노벨 화학상(with 한국화학연구원 최경민 선임연구원) | 요즘과학
🐽단백질 하면 단백질 파우더, 닭가슴살, 계란 같은 먹는 것들만 떠오른다면..? 필수 시청! '노벨화학상을 받고 싶다면, "단백질 구조" 연구를 해라!' 하는 농담이 있을 정도로, 노벨화학상의 단골 주제인데요👀 올해는 AI을 이용해 '단백질 구조 예측, 설계' 연구를 한 세 분의 과학자가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답니다🎊 실제로 이 AI를 활용하여 신약을 설계 연구를 하시는 박사님👨🔬과 함께 🏆2024년 노벨 화학상을 속속들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노벨화학상 #딥마인드 #알파폴드 #로제타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1:54:51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24 Y-KAST Members' Day
행사명: 2024 Y-KAST Members' Day 일 시: 2024년 12월 19일(목) 16시 00분 [ 개회식 ] 00:00 사회: 이현주 이학부 간사(KAIST) 01:22 인사말씀: 이훈택 원장직무대행 04:36 Y-KAST 사업소개및성과: 김영근 차세대부장(고려대) 19:36 2024년 차세대회원심사위원회 경과보고: 한용만 회원심사위원(KAIST) [ 2025년 Y-KAST 신입회원 및 연구분야 소개 ] 정책학부 27:12 소개자: 이성주 정책학부 간사(서울대) 27:40 신유정 전북대학교 교수 이학부 32:07 소개자: 배명진 이학부 간사(KAIST) 32:50 김재훈(KAIST) 36:03 이성빈(KAIST) 39:10 박진희(DGIST) 42:16 최창혁(POSTECH) 46:05 이상규(IBS) 공학부 50:22 소개자: 배성철 공학부 운영위원(한양대) 51:10 조강우(POSTECH) 55:00 주진현(KAIST) 58:45 김산하(KAIST) 1:03:06 안지환(POSTECH) 1:07:22 황의종(KAIST) 1:12:01 신미경(성균관대) 1:15:10 오동엽(인하대) 1:19:56 이 웅(KIST) 농수산학부 1:24:35 소개자: 권순경 농수산학부 간사(경상국립대) 1:25:24 권춘탁(경희대) 1:29:15 박준원(서울대) 1:31:17 정영훈(경북대) 의약학부 1:34:22 소개자: 김상우 의약학부 간사(연세대) 1:35:00 정현정(KAIST) 1:37:13 이시형(서울대) 1:42:20 차재국(연세대)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1:02:05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후배 재료과학자들과 나누고 싶은 이야기 - 강기석 서울대학교 교수(공학부 정회원)
- 행 사 명: 제49회 석학 커리어 디시전스 강연 - 강기석 서울대학교 교수(공학부 정회원) - 주 제: 후배 재료과학자들과 나누고 싶은 이야기 - 일 시: 2024년 12월 23일(월) 15시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15:51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메타버스(Metaverse), 새로운 가상 융합 플랫폼의 미래가치
※ 아래 파란색으로 표기 된 시간을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의 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행사명: 제186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메타버스(Metaverse), 새로운 가상 융합 플랫폼의 미래가치 - 일 시: 2021년 4월 30일(금) 16시 [세부 프로그램] 0:00 - 개회 및 주제설명 6:46 - 주제발표1: 가상증강현실에서 메타버스 응용까지 - 우운택 KAIST 문화기술대학원장 27:45 - 주제발표2: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 기술 - 양준영 LG디스플레이 상무 54:31 - 토론1: 전진수 SK텔레콤 MetaverseCO장 1:00:53 - 토론2: 김흥묵 ETRI 미디어연구본부장 1:09:23 - 토론3: 박종일 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교수 1:15:41 - 토론4: 김보은 라온텍 대표 1:27:34 - 토론5: 김치우 APS홀딩스 사장 1:35:20 - 종합토론: 사전질의 및 응답 [자료집 링크] https://kast.or.kr/kr/space/data.php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25:11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23년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신입정회원 입회식 및 신년하례식
[신년하례식] 00:28:06 - 2023년도 신년하례식 00:28:08 - 사회: 이창희 총괄부원장 00:31:28 - 신년사: 유욱준 원장 00:39:32 - 환영사: 한민구 이사장 [신입정회원 입회식] 00:49:18 - 사회: 정필훈 회원담당 부원장 00:52:20 - 심사경과보고: 노정혜 회원심사위원장 [회원 소개] ◎ 정책학부 00:58:38 - 소개자: 김영배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00:59:33 - 김소영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이학부 01:04:42 - 소개자: 남원우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01:06:12 - 강명주 서울대학교 교수 01:08:46 - 김창영 서울대학교 교수 01:10:43 - 박홍규 고려대학교 교수 01:12:48 - 이규철 서울대학교 교수 01:14:11 - 최원식 고려대학교 교수 01:16:02 - 박정영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01:18:30 - 박충모 서울대학교 교수 01:19:59 - 안지훈 고려대학교 교수 01:22:22 - 이성근 서울대학교 교수 ◎ 공학부 01:25:06 - 소개자: 박효선 연세대학교 교수 01:25:40 - 권일한 한양대학교 교수 01:27:50 - 고승환 서울대학교 교수 01:29:53 - 안성훈 서울대학교 교수 01:32:16 - 김광호 부산대학교 교수 01:35:11 - 김재국 전남대학교 교수 01:38:20 - 한흥남 서울대학교 교수 01:41:00 - 홍용택 서울대학교 교수 01:43:38 - 박재형 성균관대학교 교수 01:45:22 - 차형준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농수산학부 01:48:54 - 소개자: 박현진 고려대학교 교수 01:49:29 - 박기훈 경상국립대학교 교수 01:51:26 - 윤철희 서울대학교 교수 01:54:23 - 정원교 국립부경대학교 교수 01:58:29 - 이현규 한양대학교 교수 02:00:29 - 이우균 고려대학교 교수 ◎ 의약학부 02:05:40 - 소개자: 서영준 서울대학교 교수 02:06:15 - 국현 전남대학교 교수 02:10:57 - 민정준 전남대학교 교수 02:14:15 - 조동규 성균관대학교 교수 02:16:31 - 고성규 경희대학교 교수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22:01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에너지와 기후변화 위기 극복을 위한 기초과학의 역할
🗓️ 일시 : 2022년 12월 1일(목) 오후 3시 🏛️장소 : 한림원회관 1층 성영철홀 📖프로그램📖 00:00 [사회자] 조용훈 KAIST 자연과학대학 학장 02:40 [개회사] 이창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총괄부원장 * 세션 1 : 주제발표 07:15 [발 표1] 에너지의 미래를 위한 기초과학의 역할 / 유석재 한국핵융합연구원 원장 28:09 [발 표2] 기후위기 대처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초과학의 방향 / 하경자 IBS 기후물리연구단 교수 48:54 [발 표3] 에너지 대전환 시대와 기초과학 / 윤의준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총장 * 세션 2 : 지정토론 및 자유토론 1:13:26 [좌 장] 이철의 고려대 물리학과 명예교수 1:15:37 [토 론1] 윤경병 서강대 화학과 로욜라 석학교수 1:30:17 [토 론2] 선양국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1:39:39 [토 론3] 윤제용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1:48:08 [토 론4] 이은정 KBS 과학전문기자 1:53:13 자유토론(질의응답) 📚자료집 링크📚 https://url.kr/7mhdxg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1:26:26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로봇기술(오준호 KAIST 교수) · 미세플라스틱(안윤주 건국대 교수) 주제 특별강연
2021 ‘청소년과학영재사사’ 한림미래과학캠프 특별강연 ※ 아래 파란색으로 표기된 시간을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의 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00:13 특별강연 I : 「Robot Technology and The Future」 - 오준호 KAIST 교수 36:18 - 질의응답(Q/A) 40:47 특별강연 II : 「미세플라스틱과 생태계」 - 안윤주 건국대 교수 1:13:57 - 질의응답(Q/A)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1:45:17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노벨상 수상자와의 특별 대담 - 천체의 신비를 풀어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Mather, NASA, 2006 노벨물리학상)
- 일 시: 2021년 12월 2일(목) 10시 30분 14:40 사회 - 이성주 교수(서울대학교) 16:05 개회사 - 한민구 원장 [ 사전행사 ] 20:05 JWST 해설 - 양유진 박사(한국천문연구원) [ Main Event ] 44:41 특별강연: Opening the Infrared Treasure Chest with JWST - John C. Mather(NASA, 2006노벨물리학상) 1:04:40 Q&A 대담 - 우종학 교수(서울대학교)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12:38
국립과천과학관
[해썰이 있는 과학뉴스]우리 땅에서 우리 꿈을 쏜다! 누리호 발사 특집 1편
과학이 궁금한 여러분 안녕하세요! 2022.6.21. 대한민국 역사에 길이 남을 가슴 뜨거운 순간이 있었습니다.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으로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7번째로 자력으로 위성 발사체를 쏘아올린 국가가 되었습니다. 누리호 2차 발사 성공 기념! 누리호 2차 발사를 보다 쉽게 알려드리고자 특집으로 준비했습니다. 누리호 2차 발사는 1차 발사와 무엇이 바뀌었길래 성공할 수 있었을까요? 앞으로도 발사 계획은 어떻게 될까요? 누리호 2차 발사에 대한 궁금증! 과학뉴스에서 풀어드립니다 #과학뉴스 #누리호2차발사 #발사성공 #성능검증위성 #국립과천과학관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10:01
국립과천과학관
[해썰이 있는 과학뉴스] 새로운 에너지저장장치 모래배터리 두둥등장!
과학이 궁금한 여러분 안녕하세요! 해수욕장에 놀려가면 맨발로 모래사장을 걷다가 너무 뜨거워서 깜짝 놀라신 적 있으신가요? 모래는 열 손실이 적고 열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핀란드에서는 이런 특성을 활용해 모래배터리를 만들어 난방에 활용한다고 합니다. 들을수록 신기한 모래배터리는 일반 배터리들과 무엇이 다를까요? 모래배터리를 활용하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요? 여러분의 궁금증! 과학뉴스에서 풀어드립니다. #모래배터리 #ESS #에너지저장장치 #신재생에너지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53
KOFWST
2021 여성과총 주요사업 안내
2021년도 여성과총 주요 사업에 대한 안내영상입니다.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57:17
HOSS Production
[호스프로덕션] 20200113-14 성북문화재단 꿈의 오케스트라 동계음악캠프 업앤업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14:54
국립과천과학관
[해썰이 있는 과학뉴스] 전 세계를 덮친 기후위기, 밥상을 바꾼다!😼 원인&해결방안을 과학뉴스에서 풀어드립니다👏
과학이 궁금한 여러분😚 안녕하세요! 얼마 전, 수도권에 쏟아진 기록적인 폭우🌧와 태풍 힌남노의 상륙으로 안타까운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있었습니다. 기상청 통계를 확인해보면, 지속적인 온도 상승과 강수량 증가로 기후 위기가 우리에게 가까이 다가왔음을 알 수 있는데요. 기후 위기가 지속되면 특정 작물의 생산량 감소, 병충해의 증가 등으로 안정적인 식량 생산이 어려워지며 식량 위기에 직면하게 되는데요. 우리의 삶을 위협하기 시작한 기후위기! 우리는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요?🤓 우리의 내일을 위한 과학이야기, 과학뉴스에서 풀어드립니다. #기후위기 #식량위기 #지구온난화 #폭우 #폭염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14:42
국립과천과학관
[해썰이 있는 과학뉴스] 대한민국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호 발사!
과학이 궁금한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주 대한민국 우주 개발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아주 뜻깊은 일이 있었습니다. 미국 플로리다 우주군 기지에서 팰컨9에 실려 발사된 다누리호가 성공적으로 달 전이 궤도에 진입했다고 하는데요. 다누리호는 앞으로 135일 간의 비행을 통해 달 임무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면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다누리호가 오랜 시간 동안 비행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다누리호가 앞으로 수행할 임무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지금 달탐사가 새롭게 주목받는 이유가 무엇인지! 과학뉴스에서 자세하게 알려드립니다. #다누리호 #달탐사 #달궤도선 #스페이스X #팰컨9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10:16
국립과천과학관
[해썰이 있는 과학뉴스]여름 하늘 수놓은 퍼레이드! 태양계 행성 정렬
과학이 궁금한 여러분 안녕하세요! 6월에 '수금화목토' 태양계 행성들이 나란히 나란히~ 정렬한 모습을 맨눈으로도 볼 수 있었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이렇게 신기한 천문 현상이 관측될 수 있는 걸까요? 다음 태양계 행성 정렬은 언제 일어날까요? 경이롭고 신비한 우주 이야기, 과학뉴스에서 풀어드립니다. #과학뉴스 #행성정렬 #천문관측 #태양계 #케플러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12:40
국립과천과학관
[해썰이 있는 과학뉴스] 별의 탄생과 죽음, 휘어지는 빛... 제임스웹 이미지 상세 해설!
과학이 궁금한 여러분 안녕하세요!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너무나 아름답고 신비로운 우주의 모습에 모두 깜짝 놀라셨죠? 저 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이 그 모습에 감탄하면서도 각 사진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 궁금하셨을 텐데요. NASA에서 공개한 4장의 이미지와 1개의 자료에는 어떤 사실이 숨겨져 있고 어떤 것을 알 수 있을까요? 여러분의 궁금증을 과학뉴스에서 풀어드립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허블 #은하 #중력렌즈 #외계행성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13:29
국립과천과학관
[해썰이 있는 과학뉴스] 지금까지 본 우주는 잊어라!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과학이 궁금한 여러분 안녕하세요! 여러분 혹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지난해 12월, 아리안5 발사체에 몸을 싣고 우주로 올라간 다목적 우주망원경입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관측을 시작한 후 첫 결과물이 마침내 세상에 공개됐는데요 천문학의 새로운 장을 열어줄 것이라고 기대받고 있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어떤 임무를 수행할 예정인지? 많은 사람들에게 기대받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과학뉴스에서 풀어드립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허블 #은하 #성운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12:15
국립과천과학관
[해썰이 있는 과학뉴스]원숭이 두창, 제2의 팬데믹 되나??
과학이 궁금한 여러분 안녕하세요! 올해 해썰이 있는 과학뉴스는 원숭이 두창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만 발견됐던 희귀 바이러스병인 원숭이 두창이 세계 각지로 퍼지면서 전세계가 긴장하면서 지켜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원숭이 두창은 무엇이고 어떻게 감염되는 것일까요? 백신이나 치료제는 있는 걸까요? 원숭이 두창에 관한 궁금증, 과학뉴스에서 풀어드립니다 #원숭이두창 #엠폭스 #MPOX #과학뉴스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19:12
국립과천과학관
2022 노벨 물리학상, 올해의 수상자들은 어떤 업적🕵을 세웠을까?ㅣ해썰이 있는 과학뉴스
양자 얽힘🧐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지난 10월 4일에 발표한 노벨 물리학상은 양자 얽힘에 관한 연구를 하신 세 분의 교수님이 수상하셨습니다👏 양자 중첩, 양자 얽힘, 양자 역학... 용어만 들어도 머리가 아픈데요.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양자 역학을 완벽하게 이해한 사람은 없다' 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준비한 이번주 💜해썰이 있는 과학뉴스💜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신 분들의 업적과 양자 역학부터 양자 중첩, 양자 얽힘까지! 개념을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우리 모두 눈을 크게 뜨고 알아보자구요~ #노벨물리학상 #양자역학 #양자얽힘 #양자중첩 #양자컴퓨터 #양자암호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35:11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식품 산업의 변화와 대응
- 행사명: 제162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식품 산업의 변화와 대응 - 일 시: 2020년 7월 15일(수) 14시30분 - 주 최: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후 원: 농촌진흥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제발표] 0:36:10 발표자: 김홍상(한국농촌경제연구원 원장)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정 전환과 과제 0:57:18 발표자: 김두호(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원장)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산업을 선도할 혁신기술 [패널토론] 1:24:12 좌 장: 권대영(한국식품연구원 前 원장) 1:25:53 토론자: 임용표(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 1:35:46 토론자: 이학교(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 1:44:48 토론자: 강정화(한국소비자연맹 회장) 1:53:29 토론자: 김성윤(조선일보 편집국 음식전문기자) [주요이슈] 00:37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식품 사업의 변화 02:49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식품 산업의 대응 방안 04:29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식품 산업을 선도할 혁신기술 ※ 본 영상은 7월 15일에 개최되었던 온라인 토론회 내용을 정리한 영상으로, 일부 내용은 현재 상황과 다를 수 있음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12:19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배양육, 미래의 먹거리일까?
※ 하단 '더보기'를 클릭하면 시간정보(푸른색 글자)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시간을 누르면 원하는 프로그램 부분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행사명: 제188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배양육, 미래의 먹거리일까? - 일 시: 2021년 6월 17일(목) 15시30분 [세부 프로그램] 0:00 - 개회 및 주제설명 6:40 - 주제발표1: 미래의 단백질 배양육의 현황과 전망 - 조철훈 서울대학교 교수 25:57 - 주제발표2: 배양육 대량생산 플랫폼 개발을 위한 조직공학기술의 적용 - 배호재 건국대학교 교수 51:31 - 토론1: 세포로 본 배양육 - 이창규 서울대학교 교수 59:26 - 토론2: 배양육은 축산물을 대체할 수 없다 - 이승호 축산단체협의회 회장 1:09:17 - 토론3: 대체육 시장에 대한 기대와 우려 - 윤명 소비자시민모임 사무총장 1:15:38 - 토론4: 대체식품 산업 동향과 정책방향 - 노수현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 1:20:18 - 토론5: 배양육 관련 안전관리 현황 - 강대진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기준기획관 1:26:26 - 종합토론 및 질의응답 [자료집 링크] https://kast.or.kr/kr/space/data.php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15:20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양자컴퓨터의 전망과 도전: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 하단 '더보기'의 내용 중 시간 정보(파란색 숫자) 클릭 시 해당 순서로 이동 - 일시 : 2022년 2월 14일(월) 0:00 - 사 회 (조영욱 연세대학교 교수) 1:07 - 개회사: 한민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 세션 1: 주제발표 04:55 - 양자컴퓨터의 응용 및 비전 - 이진형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36:10 - 양자컴퓨터의 현황과 기술적 도전 – 김도헌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 *세션 2: 지정토론 58:07 - 좌 장: 김태현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59:30 - Quantum computing: dream or nightmare? - 김윤호 포항공과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10:32 - 양자컴퓨팅 게임체인저 – 이준구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1:29:59 - KRISS의 양자기술 현황 및 연구 방향 – 문종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초저온원자양자연구팀 팀장 1:39:25 -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양자컴퓨팅 기술 - 경우민 현대자동차 융복합소재연구팀 책임연구원 *세션 3: 자유토론 1:48:07 - 사전 및 실시간 질의응답 📖토론회 자료집📖 https://www.kast.or.kr/kr/space/data.php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35:36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대학 교수평가제도의 개선방안
※ 아래 파란색으로 표기 된 시간을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의 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179회 한림원탁토론회 자료집 다운로드 링크📖 https://kast.or.kr/kr/space/data.php?bbs_data=aWR4PTE4MDQ0JnN0YXJ0UGFnZT0wJmxpc3RObz02NiZ0YWJsZT1jc19iYnNfZGF0YSZjb2RlPXNlb3NpYyZzZWFyY2hfaXRlbT0mc2VhcmNoX29yZGVyPQ%3D%3D%7C%7C&bgu=view&idx=18044&ho=1 - 행사명: 제179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대학 교수평가제도의 개선방안 - 일 시: 2020년 12월 4일(금) 15시 [주제발표] 0:06:18 발표자: 최태림(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 - 교수평가제도의 현황 및 실태 파악 0:25:30 발표자: LIM Boon Han(Global Young Academy) - Global View of Institutional Promotion Criteria For Professorship) 0:39:20 발표자: 정우성(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 교수평가제도의 의의와 운용 [패널토론] 1:03:14 좌 장: 배명진(포항공과대학교 수학과 교수) 1:07:06 토론자: 배옥남(한양대학교 약학과 교수) 1:08:07 토론자: 서창호(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1:10:33 토론자: 강용묵(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1:11:47 토론자: 김재경(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질의응답] 1:14:43 Q1: 획일화된 평가제도에서 벗어나서, 연구분야 및 학과 특성을 고려하여 제안하는 이상적인 테뉴어 평가방안은 무엇인가요? 1:29:18 Q2: 연구분야를 고려했을 때 평가항목을 정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정하시고 싶으신가요? 1:37:17 Q3: 선진국(유럽, 미국, 캐나다 등) 대학의 테뉴어 평가제도는 과연 우리의 제도보다 나을까요? 1:45:06 Q4: 테뉴어 평가제도에서 교육에 대한 기여가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55:48 Q5: 현재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테뉴어 평가제도에서 교육 평가항목에 대한 아쉬운 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2:01:24 Q6: 테뉴어 평가제도에서 봉사 평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10:54 Q7: 선진국들은 교수평가에서 유연성 제도를 시행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국내 대학에서는 그렇게 하지 못하는 이유가 뭘까요? 2:11:43 Q8: 대학본부는 BK 제도를 통해서 개선점을 계속 내놓고 있다고 하는데, 왜 실질적으로 도입이 되지 않는 걸까요? 2:16:21 Q9: 순위가 아닌 가치를 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2:17:42 Q10: 교수들이 매년 혹은 수년에 한번 등의 일정 주기별로 자신이 주로 평가받고자 하는 영역의 비중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각 영역에서 세운 잣대로 평가를 받게 한다면, 보다 각 교수의 역량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는 시스템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에 대하여 교수님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2:21:39 Q11: 교수평가주기라도 현재 1년에서 3년으로라도 늘리면 어떨까요? 2:26:12 Q12: 정성평가를 도입할 때 대학이 피평가자에 대한 신뢰도 또는 피평가자가 가지는 대학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이 있을까요? 2:30:39 Q13: 학생입장에서 더 평가받는 교육 업적평가에 대한 비율을 더 적용하고, 학생들이 교수를 평가하는데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까요? ※ 본 영상은 12월 4일에 개최되었던 온라인 토론회 내용을 정리한 영상으로, 일부 내용은 현재 상황과 다를 수 있음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25:09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가속화되는 4차산업혁명
- 행사명: 제166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가속화되는 4차산업혁명 - 일 시: 2020년 8월 24일(월) 16시 - 주 최: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주제발표] 0:33:32 발표자: 윤성로(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응전략 0:52:26 발표자: 김정호(KAIST 글로벌전략연구소장·과학기술전략센터장)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Digital Transformation 확대와 기술적 도전 [패널토론] 1:13:52 좌 장: 박태현(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1:14:38 토론자: 이병호(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1:26:31 토론자: 김대형(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1:38:02 토론자: 최윤희(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49:40 토론자: 이효석(삼성전자 상무) [주요이슈] 00:40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응전략 02:55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Digital Transformation 확대와 기술적 도전 04:33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핵심 기술 ※ 본 영상은 8월 24일에 개최되었던 온라인 토론회 내용을 정리한 영상으로, 일부 내용은 현재 상황과 다를 수 있음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25:12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젊은 과학자가 보는 10년 후 한국 대학의 미래
- 행사명: 제164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젊은 과학자가 보는 10년 후 한국 대학의 미래 - 일 시: 2020년 7월 30일(목) 15시 - 주 최: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주제발표] 0:19:05 발표자: 손기훈(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 국제화를 통한 초저출산 시대 대학의 경쟁력 강화 0:39:36 발표자: 이성주(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 -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학교육 시스템의 진화 1:00:25 발표자: 주영석(한국과학기술원 의과학대학원 교수) -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의 재원 마련 바안 [패널토론] 1:23:58 좌 장: 장호원(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1:27:44 토론자: 김병수(연세대학교 화학과 교수) 1:38:17 토론자: 정우성(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1:44:33 토론자: 나석인(전북대학교 유연인쇄전자전문대학원 교수) [주요이슈] 00:35 우리나라 대학 교육의 현실과 문제점 03:05 우리나라 대학의 경쟁력 강화 방안 ※ 본 영상은 7월 30일에 개최되었던 온라인 토론회 내용을 정리한 영상으로, 일부 내용은 현재 상황과 다를 수 있음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01:00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우리는 왜, 어떻게 우주로 가야 하는가?
- 일시 : 2022년 9월 29일(목) 오후 3시 - 장소 : 한국과학기술한림원회관 1층 라운지 📖토론회 자료집📖 https://www.kast.or.kr/kr/space/data.php 📖프로그램📖 (사회자: 이형목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 개회사: 유욱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 세션 1 : 주제발표 [주제발표1] 우주 전담기관: 비전과 철학이 먼저다! /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탐사그룹장 [주제발표2] 우주강국을 위한 우주생태계 조성과 역할 / 이창진 건국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 세션 2 : 지정토론 (좌장: 이형목 서울대학고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 [토론자1] 황호성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 [토론자2] 조황희 STEPI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센터장 [토론자3] 김이을 세트렉아이 대표 [토론자4] 김소영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토론자5] 김민수 동아사이언스 데일리뉴스팀 기자 * 세션 3 : 자유토론 및 Q&A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39:02
한국과학기술한림원
4단계 BK21 사업과 대학의 혁신
- 행사명: 제176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4단계 BK21 사업과 대학의 혁신 - 일 시: 2020년 11월 5일(목) 15시 - 주 최: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인사말씀] 0:02:45 개회사: 한민구(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주제발표] 0:06:20 발표자: 노정혜(한국연구재단 이사장) - 연구생태계 체질변화를 위한 한국연구재단의 역할 0:29:59 발표자: 정진택(고려대학교 총장) - 대학원 교육 혁신 0:52:19 발표자: 최해천(서울대학교 교수) - 4단계 BK21 사업과 그 지향점 [패널토론] 1:16:37 좌 장: 김성진(이화여자대학교 교수) 1:17:29 토론자: 김우택(연세대학교 연구부총장) 1:27:10 토론자: 유인권(부산대학교 연구처장) 1:33:01 토론자: 정규혁(성균관대학교 대학원장) 1:42:21 토론자: 김경주(교육부 대학학사제도과 사무관) [종합토론(질의응답)] 2:06:47 대학내 학문 교육 평가가 아니라 대학간 동일전공의 학문적 평가가 있어서 지방 훌륭한 교수 연구진이 보다 좋은 환경으로 진출하게 하고,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수도권의 교수연구진은 연구보다는 교육 중심의 대학으로 전환시켜주는 시스템이 있기를 바랍니다. 2:07:51 4단계 BK21의 사회진출 혹은 배출성과를 무엇으로 검증하고 촉진할 것인가? 대학원생들의 사회진출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어떻게 기울일 계획을 갖고 있는가? 2:10:46 특정 분야가 소외되는 현상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13:07 세부분야별 평가결과와 정량적인 평가지표도 공개해주시기를 건의합니다. 2:16:49 외국인 학생과 BK에 대한 교육부의 방침은? 2:19:31 교육연구단을 A, B, C 등급으로 차등지원하는 체계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2:26:21 4단계 BK21사업 중간평가부터는 100% 질적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히고 있는데 그 방향성은? 2:27:17 삶의 질을 개선하는 연구개발을 위해 평가의 전문성과 평가의 공정성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한 것인지요? 2:29:29 중간 평가의 질적평가 방향에 있어서 IF나 ES는 없어지지만 FWCI는 유지되는 것이 맞을까요? 2:35:52 토론 정리(마무리) ※ 본 영상은 9월 8일에 개최되었던 온라인 토론회 내용을 정리한 영상으로, 일부 내용은 현재 상황과 다를 수 있음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23:08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국내 대학 연구경쟁력의 현재와 미래
※ 하단 '더보기'를 클릭하면 시간정보(푸른색 글자)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시간을 누르면 원하는 프로그램 부분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행사명: 제190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국내 대학 연구경쟁력의 현재와 미래 - 일 시: 2021년 7월 6일(화) 15시 [세부 프로그램] 0:00 - 개회사 7:14 - 주제발표1: 서울대학교 연구 및 창업 업무 소개 및 제언 – 이현숙 서울대학교 연구처장 25:51 - 주제발표2: 지역거점대학 연구력 향상 및 발전방안 – 민정준 전남대학교 연구처장 41:40 - 주제발표3: 대학의 글로벌 연구경쟁력과 다양성 – 윤봉준 고려대학 연구처장 1:09:19 - 토론1: 김상욱 POSTECH 교수 (前 기획처장) 1:17:30 - 토론2: 이원용 연세대학교 교수 (前 연구처장) 1:36:10 - 토론3: 정영미 강원대학교 연구처장 1:41:20 - 토론4: 박기범 STEPI R&D혁신연구단 선임연구위원 1:49:16 - 토론5: 김봉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장 2:03:00 - 종합토론 📖토론회 자료집📖 https://www.kast.or.kr/kr/space/data.php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32:10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인공지능 시대의 인재 양성
※ 아래 파란색으로 표기 된 시간을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의 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행사명: 제183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인공지능 시대의 인재 양성 - 일 시: 2021년 4월 2일(금) 15시 - 세부프로그램 8:56 주제발표1 : 대학 SW/AI 교육의 현재와 미래 : 오혜연 KAIST 교수 30:15 주제발표2 : 초중등 교과 과정의 AI/SW 교육 활성화 : 서정연 서강대학교 교수 56:15 지정토론 2:02:00 종합토론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01:59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외국인 연구인력 지원 및 개선방안
※ 하단 ‘더보기’를 클릭하면 시간정보(푸른색 글자)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시간을 누르면 원하는 프로그램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행사명: 제189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외국인 연구인력 지원 및 개선방안 - 일 시: 2021년 6월 30일(수) 15시 [토론회 자료집] https://www.kast.or.kr/kr/space/data.php [세부 프로그램] 0:00 - 개회 6:02 - 주제발표1: 국내의 외국인 연구자 및 지원 현황 – 이한진 한국연구재단 국책사업기획실 수석연구위원 19:57 - 주제발표2: 우수유학생 유치를 통한 전문인력 육성방안 – 이동헌 전북대학교 화학과 교수 37:18 - 주제발표3: 재한 외국인 연구자들의 입장: 어려움과 개선방안 – 버나드 에거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국제협력본부 본부장) 1:00:50 - 토론1: 김덕준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교수 1:10:35 - 토론2: 오동고 프란시스 POSTECH 박사후연구원 1:24:17 - 토론3: 김진형 교육부 교육국제화담당관 1:33:38 - 종합토론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57:33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출연연구기관의 현재와 미래
※ 아래 파란색으로 표기 된 시간을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의 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행사명: 제185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출연연구기관의 현재와 미래 - 일 시: 2021년 4월 15일(목) 15시 [세부 프로그램] 0:00 개회 5:42 주제발표1: 공공R&D 정부출연연구소: Why and How? - 임혜숙 NST 이사장 23:35 주제발표2: 융합 연구 활성화를 통한 출연(연)의 국가R&D 혁신플랫폼 역할 강화 - 김명준 ETRI 원장 45:20 주제발표3: 새로운 50년을 위한 출연(연)의 도약 - 윤석진 KIST 원장 1:18:36 토론1: 오우택 KIST 뇌과학연구소장 1:26:20 토론2: 정칠희 (주)네패스 회장 1:31:40 토론3: 조은애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1:36:00 토론4: 권석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 1:44:19 토론5: 안현실 한국경제 논설위원 2:05:40 종합토론: 사전질의 및 응답 [자료집 링크] https://kast.or.kr/kr/space/data.php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22:47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격의료 : 현재와 미래
※ 아래 파란색으로 표기된 시간을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의 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행사명: 제187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원격의료 : 현재와 미래 - 일 시: 2021년 5월 27일(목) 15시 [세부 프로그램] 세션1: 원격의료 관련 기반기술 0:00 - 개회 7:33 - 주제발표: 원격의료의 과학기술 - 정용 KAIST 교수 25:34 - 토론1: 원격 모니터링 - 심재민 고려대학교 교수 35:20 - 토론2: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의료 데이터 분석 - 이의진 KAIST 교수 41:01 - 토론3: 원격의료의 병리 이미지 전달과 활용 - 이경분 서울대 교수 45:35 - 토론4: 원격판독과 영상데이터 전달의 신기술 - 정승은 가톨릭대 교수 51:00 - 종합토론: 질의 및 응답(세션1) 세션2: 원격의료의 임상적 응용 1:13:47 - 주제발표: 원격의료의 임상적용과 문제점 - 최형식 헤셀대표이사 1:31:49 - 토론1: 원격의료의 제한점 - 염호기 인제대 교수 1:41:20 - 토론2: 원격의료의 법적 이슈 - 이원복 이화여대 교수 1:49:46 - 토론3: 언론의 관점에서 보는 우리나라 원격의료 현황 - 김철중 조선일보 의학전문기자 2:02:27 - 토론4: 원격의료의 임상경험 - 박현선 인하대 교수 2:09:49 - 종합토론: 질의 및 응답(세션2) [자료집 링크] https://kast.or.kr/kr/space/data.php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30:43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부러진 성장사다리, 닮고 싶은 여성과학기술 리더가 있는가?
- 행사명: 제167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부러진 성장사다리, 닮고 싶은 여성과학기술리더가 있는가? - 일 시: 2020년 9월 8일(화) 15시 - 주 최: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주제발표] 0:17:57 발표자: 김소영(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 여성과학기술인 성장 사다리 현황과 정책제언 0:42:50 발표자: 문애리(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장) - 여성과학기술인 지원 현황: 한국연구재단 사례 중심 [패널토론] 1:07:17 좌 장: 김상건(동국대학교 교수) 1:08:20 토론자: 이광형(KAIST 교학부총장) 1:15:03 토론자: 박문정(POSTECH 교수) 1:25:35 토론자: 조현숙(前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소장) 1:32:04 토론자: 이영옥(한국전력기술 인력개발원 교수) 1:39:13 토론자: 장경애(동아사이언스 대표이사) [주요이슈] 00:47 현재 여성과학자들이 마주하고 있는 문제들 03:52 현재 여성과학자들을 위한 지원현황 04:49 미래 여성과학자들을 위한 정책 제언 ※ 본 영상은 9월 8일에 개최되었던 온라인 토론회 내용을 정리한 영상으로, 일부 내용은 현재 상황과 다를 수 있음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21:34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아이들의 미래, 2022 교육과정 개정에 부쳐: 정보교육 없는 디지털 대전환 가능한가?
※ 하단 '더보기'를 클릭하면 시간정보(푸른색 글자)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시간을 누르면 원하는 프로그램 부분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행사명: 제191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아이들의 미래, 2022 교육과정 개정에 부쳐: 정보교육 없는 디지털 대전환 가능한가? - 일 시: 2021년 7월 16일(금) 15시 [세부 프로그램] 0:00 - 개회사 * 세션1 9:23 - 주제발표1: 디지탈 전환 시대의 초중고 교육과정 - 유기홍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 24:30 - 주제발표2: 초중고 교육과정 개정에 대학이 바라는 바 - 오세정 서울대학교 총장 36:27 - 주제발표3: 초중고에서의 바람직한 소프트웨어/인공지능 교육 - 이광형 KAIST 총장 49:34 - 종합토론 * 세션2 1:12:59 - 토론1: 황규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1:21:17 - 토론2: 이효은 Superb AI 팀장 1:27:43 - 토론3: 이현경 연세대학교 융합인문사회과학부 교수 1:32:39 - 토론4: 정주형 아몬드컴퍼니 대표 1:41:59 - 토론5: 권오성 한겨레신문 기자 1:50:01 - 토론6: 김자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부회장 1:59:47 - 종합토론 📖토론회 자료집📖 https://www.kast.or.kr/kr/space/data.php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1:58:36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오미크론, 기존 바이러스와 무엇이 다르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 일시 : 2022년 3월 10일(목), 15:00 0:00 - 사 회 (권준수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1:27 - 개회사: 유욱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 세션 1: 주제발표 06:05 – 의료기관에서 안전한 환자 진료 – 김남중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27:34 – 코로나바이러스의 토착화 과정에 대한 수리모델 –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세션 2: 지정토론 48:30 – 좌 장: 오명돈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49:06 - 염호기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교수 1:05:41 - 백경란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교수 1:13:30 -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1:23:09 - 신의철 IBS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면역연구센터장 1:29:50 - 조동찬 SBS 의학전문기자 *세션 3: 자유토론 📖토론회 자료집📖 https://www.kast.or.kr/kr/space/data.php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1:58:09
한국과학기술한림원
K-푸드의 가치와 비전
- 일시: 2022년 6월 17일(금) 10시 - 장소: 전북대학교 진수당 351호 📖프로그램📖 0:00 개회(사회자: 차연수 전북대학교 대학원장) 1:32 개회사: 유욱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 세션 1: 주제발표 6:29 [주제발표1] K-푸드의 가치와 세계화 - 권대영 호서대학교 초빙교수 28:31 [주제발표2] K-푸드의 건강 가치 - 채수완 전북대학교병원 CT2FC 센터장 * 세션 2: 지정토론 50:06 (좌장: 윤정한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명예교수) 50:56 송영선 인제대학교 식품영양·식품공학부 명예교수 59:52 박용순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1:08:52 박현진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 1:18:24 강영희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연구석좌교수 1:30:50 최상호 서울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교수 📖토론회 자료집📖 https://www.kast.or.kr/kr/space/data.php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39:06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더 이상 자연재난은 없다: 자연-기술 복합재난에 대한 이해와 대비
- 일시 : 2022년 6월 2일(목) 오후 3시 - 장소 : 엘타워 골드홀(지하1층) 📖프로그램📖 0:00 개회(사회자: 김영배 KAIST 경영대학 교수) 2:18 개회사: 유욱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 세션 1 : 주제발표 5:15 [주제발표1] 자연재난, 기술재난, 자연-기술 복합재난 / 홍성욱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교수 28:56 [주제발표2] 자동화는 구원인가 재난인가: 노동의 관점에서 본 자동차 / 이호영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52:12 [주제발표3] 자연재난과 기술재난, 그리고 포항지진 / 이강근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1:13:28 [주제발표4] 21세기 재난의 위기 대비와 대응 / 고상백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교수 * 세션 2 : 지정토론 1:34:37 (좌장: 송진웅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 1:35:52 박범순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1:46:44 신동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1:54:05 이영완 조선일보 과학전문기자 * 세션 3: 자유토론 및 Q&A 2:01:53 자유토론 2:14:44 Q&A 📖토론회 자료집📖 https://www.kast.or.kr/kr/space/data.php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15:51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메타버스(Metaverse), 새로운 가상 융합 플랫폼의 미래가치
※ 아래 파란색으로 표기 된 시간을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의 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행사명: 제186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메타버스(Metaverse), 새로운 가상 융합 플랫폼의 미래가치 - 일 시: 2021년 4월 30일(금) 16시 [세부 프로그램] 0:00 - 개회 및 주제설명 6:46 - 주제발표1: 가상증강현실에서 메타버스 응용까지 - 우운택 KAIST 문화기술대학원장 27:45 - 주제발표2: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 기술 - 양준영 LG디스플레이 상무 54:31 - 토론1: 전진수 SK텔레콤 MetaverseCO장 1:00:53 - 토론2: 김흥묵 ETRI 미디어연구본부장 1:09:23 - 토론3: 박종일 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교수 1:15:41 - 토론4: 김보은 라온텍 대표 1:27:34 - 토론5: 김치우 APS홀딩스 사장 1:35:20 - 종합토론: 사전질의 및 응답 [자료집 링크] https://kast.or.kr/kr/space/data.php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05:52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자율주행을 넘어 생각하는 자동차로
※ 하단 '더보기'의 내용 중 시간 정보(파란색 숫자) 클릭 시 해당 순서로 이동 - 일 시: 2021년 10월 15일(금), 15:00 0:00 - 개 회 * 세션 1: 주제발표 5:18 -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의 현재와 미래 - 조민수 POSTECH 교수 21:31 - 자율주행, 그 이상의 구현을 위한 사회적 윤리적 이슈 - 서창호 KAIST 교수 35:58 - 자율주행 자동차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와 대응방안 - 조기춘 건국대 교수 * 세션 2: 지정토론 56:35 - 김정희 현대자동차 상무 1:00:14 - 김성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투자심의국장 1:05:23 - 최원석 조선일보 기자 * 세션 3: 자유토론 1:22:28 자율주행을 위해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이 라이다와 카메라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 두 방법은 수소차와 전기차처럼 미래에 공존하게 될까요? 1:25:32 전세계적인 라이다 기술연구 현황과 한국의 기술 수준이 궁금합니다. 1:28:04 자동차에 적용되는 자율주행 기술이 에어모빌리티에 어느 정도 적용이 가능할지, 그외의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들은 무엇이 있을지 궁금하고, 혹시 이와 관련된 연구도 진행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1:31:55 레벨3 차량의 대중적 보급이 언제쯤 될지, 이를 위해 필요한 정책/기술 등이 무엇이 더 필요한지 알고 싶습니다. 1:39:06 자율주행 개발은 어느 정도 수준의 윤리적 기준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암묵적인 공통 기준과 목표가 있나요? 1:40:39 자율주행에서 자율 안전성 확보와 자율로 인한 사고 책임 및 윤리 문제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는지요. 1:42:19 도로, 통신, 교통신호 등 인프라 구축, 법령 제정/개정, 보험 제도 등은 정부와 기업이 협력하여 추진해 나가야 하는데, 어떠한 방식으로 협력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한지요? 1:44:53 최근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2025년까지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 상용화 시대 개막이라는 목표를 제시하였습니다. 목표의 실현 가능성과 실현을 위해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는 무엇일까요? 1:46:49 자율주행에 적합한 도로인프라 개선을 통한 안전 확보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가지고 계시나요? 1:48:22 천재지변을 제외한 돌발상황에 대한 단계별 제어 수준은 어느 정도 될까요? 그리고 자율주행에 대하여 일반인이 잘못가지고 있는 편견이나 오해는 어떤 것이 있나요? 1:52:01 보험의 주체와 보장범위는 어떻게 되어야 할까요? 1:54:39 무인 자율자동차가 상용화될 경우 해킹 등의 문제는 없을까요? 1:56:24 자율주행의 응용분야로 로봇택시나 물류배송 등 다양한 영역이 있을텐데, 경제적으로 가장 일찍 수익성이 확보될 것으로 예측되는 분야는 어느 영역일까요? 1:58:43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를 구현하는데 현재 시점에서 가장 어려운 난제가 무엇이며,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대외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 집중해야할 요소 기술분야를 추천 바랍니다. 📖토론회 자료집📖 https://www.kast.or.kr/kr/space/data.php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2:06:42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벤자민 버튼의 시간, 노화의 비밀을 넘어 역노화에 도전
- 일시 : 2022년 6월 29일(수) 오후 3시 - 장소 : 엘타워 골드홀(지하1층) 📖프로그램📖 0:00 개회(사회자: 정종경 서울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소장) 1:40 개회사: 유욱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 세션 1 : 주제발표 5:11 [주제발표1] 불노불사의 꿈 - 노화 탐구의 현장 / 이승재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22:10 [주제발표2] 노화를 되돌릴 수 있는가? / 강찬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 세션 2 : 지정토론 46:50 (좌장: 권기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제어전문연구단 책임연구원) 47:28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 57:45 최세규 POSTECH 생명과학과 교수 1:08:02 류동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1:15:40 박중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세션 3 : 자유토론 및 Q&A 1:25:20 자유토론 및 Q&A 📖토론회 자료집📖 https://www.kast.or.kr/kr/space/data.php
더보기
bottom of page